수문기상 및 가뭄 서비스 활용 강화
Enhance the Utilization of Hydrometeorological and Drought Services
by, Youn Ju Han, trimaran, 2024.11.21
“수문기상”은 수자원과 관계되는 대기 현상을 연구하는 분야로 강우가 지상에 도달하기 이전까지의 대기
현상을 다루며,“기상가뭄”은 일정 기간 평균보다 적은 강수 발생으로 건조한 날이 지속되는 것을 의미
합니다.
수문기상
물순환과정 중에서 대기와 지표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기상이 지표에 영향을 주는 현상
■수문기상 요소
물순환과정 중에서 대기와 지표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기상이 지표에 영향을 주는 현상
기상가뭄
일정 기간 이상 평균 이하의 강수로 인해 강수량 부족이 장기화하는 현상
수문기상・가뭄 정보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 이변 발생에 따라 홍수, 가뭄 빈도 및 심도가 심화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by Jihyun Heo, trimaran, 2024.01.29
위성정보는 인공위성에서 획득한 영상, 음성, 음향, 데이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처리된 정보를 의미한다. (우주개발진흥법) 이러한 정보는 지도제작, 환경, 농업, 기상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위성은 활용 목적에 따라 지구관측위성, 통신
위성, 항법위성, 기상위성, 군사위성, 과학위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의 위성개발을 통해 자체적으로 구축한 위성을 운영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총 130기의 위성을 발사할 예정이다. 이러한 위성의 증가로 획득할 수 있는 위성정보의 양 또한 증가하고 있는데,
국내 다목적실용위성의 영상 획득량은 누적 기준, 2013년 243만장에서, 2017년 443만장, 2022년 773만장으로 크게 증가하였다(위성정보활용종합계획 시행계획)
위성에서 획득한 데이터는 가치사슬(Value chain)의 여러 단계를 거쳐 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는 특정 정보·제품이 된다. 예를 들어, 원격탐사위성은 위성의 운영, 위성영상의 수신 및 처리의 운영 단계, 위성정보의 저장과 배포의 공급 단계, 공급된 위성영상 기반의 1차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 단계, 위성영상 기반 부가가치서비스를 제공하는 활용단계로 구분된다.
위성의 특성에 따라 환경, 에너지, 식량안보, 재난대응, 해양,임업, 농업, 기상 및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사회문제 분야 해결을 위한 서비스에 활용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지역적인 홍수와 가뭄 사례가 빈발하고 있으며, 수문기상・가뭄 정보 강화를 통해 사전 예방을 추진하는 것은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지표면 온도 상승은 증발산량 증가와 토양수분 감소를 더욱 심화시키고, 기후변화에 따라 가뭄의 발생 빈도의 증가 및 심도
가 심화하는 것으로 전망합니다.(Lee, Im, and Bae, 2019)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2020)에서도“미래 가뭄은 전반적으로 발생 빈도 또는 규모가 심화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망 기간이 길어질수록 가뭄 발생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여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수문기상・가뭄 정보는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을 사전에 예측하고 대비하는 데 필수적으로,
전략적 투자가 필요합니다.
수문기상・가뭄 정보는 농업, 수자원 관리, 도시 인프라 등 다양한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상재해에 대해 사전 예측과 대비를 가능하게 하며, 전략적 투자가 필요한 필수 요소
기후변화가 초래한 가뭄은 단순히 물 부족 문제에 그치지 않고, 농업 경제의 침체, 식량 안보 문제까지 확산되는 광범위한 사회적, 경제적 영향
초래합니다.
수문기상 관련 연구 및 기술개발은 단순한 재난 대응을 넘어서, 기후변화 적응 및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략적 투자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최근 (초)소형 군집위성 (Constellation)의
등장, 위성정보와 AI, 빅데이터 등의 첨단기술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위성정보는 전지구를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친 시공간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한 자료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특성이 있다. 지구 표면, 기상 및 기후, 기타 이벤트에 대한 정보의 획득 측면에서 위성 정보는 주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군집위성은 특정 지역의 준실시간 정보 획득이 가능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고해상도 위성개발은 육안으로도 대상을 식별가능한 수준에 와있으며, 첨단기술과의 융합으로 위성정보 기반의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는 이미 AI 및 빅데이터 등의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수요자 맞춤형의 정보를 생산하고 있으며, 국내는 첨단기술 기반 위성영상 분석기술 개발을 위한 위성영상 AI 학습데이터를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다중위성 시대를 맞이하여 위성활용의 범위 확대 및 관련 기술이 활발히 개발될 전망이다.
지난 2023년 5월, 실위성 8기가 실린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발사 성공은 국내 우주산업이 본격적인 우주개발 시대를 맞이했음을 의미한다. 해외에서는 위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나, 위성영상을 전문적으로 분석하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 등장하여 서비스 중이다.
국내 또한 운용 위성이 증가될 예정으로, 향후 위성정보를 활용한 분석서비스 전문 기업이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